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5년 1월 7일, 한국 증시는 상승세를 보였다.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1.5% 상승하여 2,850포인트를 돌파하였고, 코스닥 지수는 2.2% 상승하여 950포인트를 기록했다. 주요 상승 요인으로는 글로벌 기술주 강세로 볼 수 있으며,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국내 IT 및 반도체 관련 주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더. 특히, 엔비디아의 주가 상승이 국내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 심리를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1월 효과 기대감: 새해 초 투자 심리가 개선되면서 '1월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증시 상승을 견인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연초에 주식 투자를 늘리는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주요 상승 종목: 양자컴퓨터(암호) 테마 강세 지속 #바이오로그디바이스 (+29.99%): 양자컴퓨터 시장의 급성장 기대감에 힘입어 29.99%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는 양자 보안 및 양자컴퓨팅 관련주로서의 부각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국첨단소재 (+29.96%) #램테크놀러지 (+29.97%) CES 2025 기대 속 유리기판 테마 부각 #저스템 (+29.90%) CES 2025 기대 속 HBM 테마 부각 #MDS테크 (+29.97%) 엔비디아 '젠슨 황' CES 2025' 기조 연설 속 파트너사 부각 트럼프 "미국 선박 건조 재개해야…동맹국 이용할 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미국 해군과 조선업 재건을 위해 동맹국을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후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에서 조선업 협력을 언급한 바 있는데, 관련 분야 협력 의지를 재차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조선업 #HJ중공업 (+15.97%) #한화오션 (+12.60%) #삼성중공업 (+3.59%) #HD한국조선해양 (+2.67%) #HD현대미포 (+2.17%) #HD현대중공업 (+0.70%) ▶조선 기자재 #일승 (+8.70%) #KS인더스트리 (+7.39%) #HD현대마린솔루션 (+6.50%) #세진중공업 (+6.26%) #현대힘스 (+5.49%) #성광벤드 (+4.35%) 투자자 동향: 외국인 투자자들은 기술주와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순매수를 보였으며, 기관 투자자들도 연기금의 매수세에 힘입어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전망: 전문가들은 글로벌 경제 지표와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따라 증시의 변동성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의 상승 모멘텀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뉴욕증시 

 

2025년 1월 8일, 뉴욕 증시는 기술주 중심의 하락세로 마감되었다. 주요 지수의 종가와 변동폭은 다음과 같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전일 대비 0.20% 상승한 42,790.85포인트로 마감되었다. S&P 500 지수: 전일 대비 1.11% 하락한 5,909.03포인트로 마감되었다. 나스닥 종합지수: 전일 대비 1.89% 하락한 19,489.68포인트로 마감되었다. 주요 하락 요인: 엔비디아 신제품 발표에 대한 실망감으로 볼 수 있다.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CES 2025에서 신제품을 발표했으나,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기술주 전반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악화되었다. 경제 지표 호조에 따른 금리 인상 우려: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의 12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4.1로 예상치를 상회하면서 경제가 과열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져 주식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기술주 중심의 매도세: 엔비디아를 비롯한 주요 기술주에서 투매 현상이 발생하며 나스닥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기술주에 대한 리스크를 재평가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주요 종목 동향: 엔비디아(NVIDIA) 신제품 발표 이후 주가가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발표 내용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이다. 테슬라(Tesla)/애플(Apple): 기술주 전반의 하락세에 동조하여 주가가 하락했다.  경제 지표 및 기타 요인 서비스업 PMI: 12월 수치가 54.1로 발표되어 예상치를 상회했다. 이는 서비스업 분야의 확장세를 나타내며,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를 시사했다. 연준의 금리 정책: 경제 지표의 호조로 인해 연준이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망: 전문가들은 기술주에 대한 투자 심리가 약화되고 있으나, 경제 지표의 호조가 지속될 경우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금리 정책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1.29%) "인도에 4조 투자…2030년까지 AI 전문가 1000만명 육성" #마이크론테크놀로지 (+2.67%) 엔디비아 젠승 황 마이크론 DDR7 탑재 밝혀 #모더나 (+11.65%) 미국서 조류독감 감염됐던 사람...첫 사망자 발생 #메타 (-1.95%) '트럼프 절친' UFC 회장 이사로 영입…몸 낮춘 저커버그 #엔비디아 (-6.22%) 젠슨 황, CES에서 로봇공학-자율주행차 진출 선언 #테슬라 (-4.01%) 스티펠 테슬라 목표주가 492달러로 최고치 제시

오늘의 이슈 테마

1. 미국 조류인플루엔자 첫 사망자 보고 ​→ 조류독감 #마니커 #동우팜투테이블 #HK이노엔 2. 트럼프 "동맹국과 조선산업 협력" → 조선 #한화오션 #현대제철 #HJ중공업 → 조선기자재 #일승 #세진중공업 #현대힘스 3. 젠슨 황 "최태원 SK회장 만날 것” → HBM #윈팩 #워트 #제너셈 #케이씨텍 4. 중국 인플루엔자 유행에 치료제 사재기 → 진단키트 #랩지노믹스 #수젠텍 #씨젠

시초가 종목

 

노려볼만한 종목은 우선 MDS테크, 제이씨현시스템, 저스템, 워트 정도 예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뉴욕증시 기술주들의 하락폭이 컸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오늘은 조심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