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가온그룹(078890) · 한성기업(003680) — 티스토리 형식 종목 분석
작성일: 2025년 11월 21일
분석 범위: 사업 개요 / 수급(기관·외국인 보유) / 밸류에이션(PER·PBR 외) / 재무제표 하이라이트 / 투자 포인트 및 리스크 / 적정주가(간단 산정)
1) 가온그룹(078890) — 종목 개요
업종: 전기·전자 (OTT·네트워크 장비, AI 솔루션)
- 회사 개요: 2001년 설립, 셋톱박스·OTT 단말 및 네트워크 장비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구 가온미디어). AI·XR·로봇 통합 플랫폼으로 사업 영역 확장 중.
- 글로벌 판매처: 전 세계 90여개국에 방송통신사업자 대상 장비 공급. 수출 비중이 높은 편(과거 연결기준 매출의 다수 수출).

최근 수급(기관·외국인)
- 외국인 지분 비중: 과거 공시 기준 소액(예: 3~4% 안팎으로 확인되는 시점 존재).
- 기관 보유/거래: 주요 기관 참여는 있으나 외국인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외국인 보유율과 중복되는 대주주 구조(특수관계인 지분 등)를 보유.
※ 최근 일별 순매수·순매도 흐름(기관/외국인)은 시시각각 변동하므로, 투자 전 KRX 또는 증권사 일별 매매동향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밸류에이션 & 주요 지표
| 지표 | 값(최근 결산 기준 또는 공시자료 근거) |
|---|---|
| EPS (2024) | 약 -3,020원(연결, 최근 결산 기준) |
| BPS (2024) | 약 7,302원 |
| PER | 분기/연도·계산 방식에 따라 상이(음수 또는 낮은 배수 표기됨) |
| PBR | 약 0.4~0.7배대(데이터 소스에 따라 차이) |
| 배당수익률 | 최근 연도에선 배당이 크지 않음(무상조정·현금배당 제한적) |

재무 하이라이트(요약)
- 매출: 최근 몇 년간 수출을 바탕으로 변동성 있음. 2025년 상반기에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 증가 및 영업흑자 전환 소식이 존재.
- 수익성: 2022~2024년 사이 이익 변동(흑자→적자 전환 사례 있음). ROE 변동성이 크므로 이익 안정성 확인 필요.
- 현금흐름: 영업현금흐름은 연도별 편차 큼 — 제조업·수출업 특성상 계절적/프로젝트별 매출 인식 영향 있음.

투자 포인트
- AI·OTT·네트워크 장비(셋톱박스) 등 기존 사업의 글로벌 레퍼런스(90여개국) — 수출 기반 성장 모멘텀.
- AI 결합 디바이스·XR·로봇 등 신사업 확장으로 중장기 성장 가능성.
- 밸류에이션(낮은 PBR)은 하방 완충 가능성을 제공하나, 수익성 회복이 관건.
리스크
- 글로벌 수요 둔화 또는 고객사(통신사업자) CAPEX 축소 시 매출 급감 가능.
- 제품·기술 경쟁 심화 및 가격 경쟁 압력.
- 재무적 변동성(적자 전환 경우) — 실적의 안정화 필요.

간단한 적정주가(예시 산정)
단순 PBR 기반 가정:
적정주가 ≒ BPS × 목표 PBR
예) BPS 7,300원 × 목표 PBR 0.8 = 5,840원 (예시 계산)
※ 이는 매우 단순화한 모델이며, 실무에서는 할인현금흐름(DCF), 상대가치, 주주가치 변화(지분구조, 자사주, 비핵심자산 매각)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 한성기업(003680) — 종목 개요
업종: 음식료·가공식품 (수산가공, 게맛살·크래미·냉동식품 등)
- 회사 개요: 1963년 설립된 전통적 수산가공 및 냉동식품 제조기업. 브랜드(게맛살 등)와 OEM·해외 수출 비중 보유.
- 시장 포지션: 국내 수산가공 업계에서 일정한 점유율과 MSC 등 인증 보유로 품질 경쟁력 존재.
최근 수급(기관·외국인)
- 외국인 보유비중: 상대적으로 낮은 편(예: 1%대 표기 데이터 존재).
- 기관 투자: 대형 기관의 관심이 제한적일 수 있으나, 업황·실적에 따라 변동.

※ 최근 일별 순매수·순매도는 KRX/증권사 매매동향으로 확인 권장.
밸류에이션 & 주요 지표
| 지표 | 값(최근 결산 기준 또는 공시자료 근거) |
|---|---|
| EPS (2024) | 약 457원(연결/최근 결산 기준, 자료별 표기 차이 존재) |
| BPS (2024) | 약 12,000원대 |
| PER | 약 15배 내외(업종·시점에 따라 차이) |
| PBR | 약 0.4~0.7배(자료별 상이) |



재무 하이라이트(요약)
- 매출: 식품·수산가공 업황에 따라 계절성과 원재료(어획·원물) 가격 변동성 영향.
- 수익성: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원가율(원물가격) 및 판가 결정력에 좌우됨.
- 재무안정성: 부채비율·현금흐름 항목 확인 필요(공시 자료 참조 권장).

투자 포인트
- 필수 소비재(식품) 섹터 특성상 경기 민감도는 낮은 편이나, 원자재(수산물) 가격 리스크 존재.
- 브랜드·해외수출·인증(MSC 등)은 중장기 경쟁력 요소.
- PER 15배 내외는 업종 평균과 비교해 과·저평가 판단 필요.

리스크
- 원물(어획) 가격 급등 또는 공급망 이슈.
- 수출 규제·무역 환경 변화.
- 내수 소비 부진 시 판가·판량 하락.
간단한 적정주가(예시 산정)
예) EPS 500원 × 목표 PER 12 = 6,000원 (예시 계산)
※ 위 산정은 단순 예시입니다. 실제 적정가는 실적 전망(매출·이익 성장률), 할인율, 잉여현금흐름 등을 반영해야 합니다.
마무리 — 투자 관점 요약
- 가온그룹: 기술·수출 기반의 성장 스토리가 있으나, 최근 이익 변동성과 재무 안정성 확인이 중요. 밸류에이션(낮은 PBR)은 매수 기회일 수 있으나 실적 회복 확신 필요.
- 한성기업: 안정적 소비재 포지션과 브랜드/수출 경쟁력 보유. 원재료 리스크와 업황에 민감하므로 실적 흐름 확인이 중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