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한중엔시에스(107640) 재무제표 분석 및 투자 분석

기업 개요

  • 주요 사업: 에너지 저장장치(ESS) 부품, 자동차 부품 제조 및 판매
    • ESS 분야에서 수냉식 냉각 시스템의 Cooling Plate, Chiller, HVAC 등을 주력으로 개발 및 제조
    • ESS 모듈 제품 생산 및 연구 개발에 집중
  • 업종 변경: 2021년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업으로 주 업종 변경 (기존 자동차 부품 사업 영위)
  • 코스닥 이전 상장: 2024년 6월 코스닥 시장에 기술 성장 기업으로 이전 상장 (기존 코넥스 상장)
  • 수냉식 ESS 기술력: 국내 유일의 수냉식 ESS 냉각 시스템 생산 업체
    • 공랭식 대비 낮은 소음, 높은 냉각 효율, 일정한 온도 균일성 등의 장점 보유
    • 삼성SDI에 수냉식 냉각 시스템 단독 공급 중

재무제표 분석 (2024년 기준)

  • 매출액: 연결 1,773억 원 (전년 동기 대비 45.8% 증가)
    • ESS 부문 매출 비중 크게 증가 (55.9%)
  • 영업이익: 119억 원 (흑자 전환)
  •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 주요 재무 비율:
    • PER (주가수익비율): 12.10배
    • PBR (주가순자산비율): 2.98배
    • ROE (자기자본이익률): 32.64%

종합 분석: 2024년 큰 폭의 매출 성장과 함께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뚜렷한 실적 개선을 보였습니다. 특히 ESS 부문의 성장이 전체 실적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투자 분석

강점:

  • ESS 시장 성장 수혜: AI 및 데이터센터 성장, RE100 추진 등으로 ESS 시장의 급격한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독보적인 기술력: 국내 유일의 수냉식 ESS 냉각 시스템 기술 보유는 경쟁 우위 요소입니다.
  • 확실한 고객처: 삼성SDI에 단독으로 수냉식 냉각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 확보가 가능합니다.
  • 사업 확장 가능성: ESS 외 다른 분야로의 냉각 시스템 적용 확대 가능성이 있습니다.
  • 체질 개선 및 성장 동력 확보: 자동차 부품 사업에서 ESS 및 전기차 부품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 경쟁 심화: ESS 냉각 시스템 시장 경쟁 심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특정 고객 의존도: 삼성SDI에 대한 높은 매출 의존도는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변동성: 성장주 특성상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종합적인 투자 의견:

한중엔시에스는 ESS 시장의 성장과 함께 독보적인 수냉식 냉각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2024년 실적 턴어라운드를 통해 성장기에 진입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ESS 시장 확대에 따른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다만, 경쟁 심화 가능성과 특정 고객에 대한 의존도 등은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Disclaimer: 이 분석은 제한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투자 결정은 투자자 본인의 판단과 책임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투자 전 반드시 추가적인 정보 확인 및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