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나스미디어(089600) – 2025년 실적 반등과 플랫폼 성장 주목
2025년 4월 유안타증권 분석 기준, 나스미디어는 디지털 광고, OTT, 옥외 광고 플랫폼 중심의 구조 개편을 통해 실적 반등과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는 기업입니다.
📌 기업 개요
- 설립: 2000년 / 코스닥 상장: 2008년
- 지배주주: KT(43.2%)
- 사업 영역: 디지털 광고, OTT 광고, 옥외 광고, SSP 플랫폼
- 특징: 넷플릭스, 티빙, 쿠팡플레이 3대 OTT 광고 인벤토리 보유
🚀 2025년 성장 포인트
① OTT 광고 확대
- 쿠팡플레이 광고 독점권 확보 (2025년 2월)
- FIFA 아시아예선, EPL 등 스포츠 콘텐츠 중심 광고 확대
- OTT 광고 단가 일반 콘텐츠 대비 1.5배 수준
- 광고 요금제 확산 → 광고형 MAU 증가
② 플랫폼 사업 확장
- 국내 최초 GMP(구글 마케팅 플랫폼) 공식 리셀러
- 유튜브 MCM 파트너 자격 확보 → SSP 수익 구조 가능
- 광고대행이 아닌 플랫폼 운영 수익 비중 증가
③ 옥외광고 확대
- 서울 지하철 1,2,5,7,8호선 독점 광고 운영권 확보
- 디지털 옥외광고 판매율 90% 이상
- 서울시 옥외광고 규제 완화 → 추가 성장 기대
④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
- 플레이디 지분 46.9% 전량 매각 (490억 원)
- 광고 인벤토리 기반 고마진 사업 구조로 재편
📈 실적 요약
구분 | 2022 | 2023 | 2024 | 2025 전망 |
---|---|---|---|---|
매출액 (억원) | 1,524 | 1,468 | 1,426 | 성장 반등 기대 |
영업이익 (억원) | 331 | 205 | 199 | ↑ 개선 전망 |
순이익 (억원) | 268 | 167 | -65 | 흑자전환 예상 |
PER | 10.9 | 15.0 | -32.7 | 7.6배 (Fwd) |
💼 재무 포인트 요약
- 연간 광고 취급고: 1조 3,806억 원
- GMP/DV360 광고 플랫폼 매출 본격화 (2Q25~)
- 고정비 증가 없이 실적이 늘어나는 레버리지 구조
📊 주요 수익 모델 비교
구분 | GMP 리셀러 | MCM 파트너 |
---|---|---|
대상 | 광고주 (기업) | 콘텐츠 보유자 (유튜버 등) |
수익모델 | 플랫폼 수수료 | 광고 수익 쉐어 |
나스미디어 역할 | 광고 집행 솔루션 판매 | 대행 운영 및 수익 관리 |
🧾 결론 및 투자 포인트
- OTT 중심 디지털 광고 시장 주도
- 플랫폼 전환 → 고마진 구조 진입
- 고정비 낮은 옥외광고 + SSP 플랫폼 성장 기대
- 현재 PER 7.6배 수준 → 밸류에이션 매력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