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동진쎄미켐은 반도체 및 전자 소재 전문 기업으로 포토레지스트, 에천트, 스트리퍼, CMP 슬러리 등 반도체 공정 핵심 화학소재를 공급하고 있으며, 발포제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가진 기업입니다. 1967년 설립되어 꾸준히 성장해온 전자소재 기업으로 최근 반도체 소재 국산화 트렌드와 맞물려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재무제표 요약
구분 | 2022 | 2023 | 2024 | 2025 상반기 |
---|---|---|---|---|
매출액 | 14,572억 | 13,099억 | 14,081억 | 7,449억 |
영업이익 | 2,163억 | 1,762억 | 2,082억 | 1,123억 |
순이익 | - | - | 1,165억 | - |
➡ 2023년 영업이익이 일시적으로 줄었으나, 2024년 이후 다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 실적도 안정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재무 안정성 지표
- 유동비율: 149.8% → 안정적인 단기 지급능력
- 부채비율: 84.5% → 비교적 안정적
- 이자보상배율: 8.4배 → 이자비용 부담 적음
- 자기자본비율: 54.2% → 절반 이상 자본 구조
3️⃣ 수급 및 시장 흐름
- 최근 중국 자회사 지분 매각으로 재무구조 개선
- 반도체·전자소재 국산화 수혜 기대
- 기관 및 외국인 수급 관심 종목으로 부각
4️⃣ 미래 투자 가치
✅ 강점 요인
- 반도체 소재 국산화 트렌드 수혜
- 꾸준한 영업이익 창출 능력
- 재무 구조 개선 여지
⚠ 리스크 요인
- 반도체 업황 의존도 높음
- 원재료 가격 변동성
- 국내외 경쟁 심화 및 기술 리스크
5️⃣ 목표주가 시나리오
시나리오 | 가정 | 목표 PER | 목표 주가 범위 |
---|---|---|---|
보수적 | 완만한 성장 | 12~15배 | 25,000원 ~ 35,000원 |
기준 | 현 추세 유지 | 15~20배 | 35,000원 ~ 50,000원 |
낙관적 | 수요 급증 & 기술 우위 | 20~25배+ | 50,000원 이상 |
현재 주가는 43,000원대로 52주 최고가 부근에 있으며, 반도체 업황과 소재 국산화 정책에 따라 추가적인 모멘텀 확보가 기대됩니다.
📈 결론
동진쎄미켐(005290)은 반도체 소재 국산화 대표주로 꾸준한 영업이익과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반도체 업황 변동성, 원자재 가격 리스크를 고려해야 하며, 투자 시 목표 주가 시나리오별 분할 매수/매도 전략이 유효해 보입니다.
※ 본 글은 투자 참고용 자료이며, 매수/매도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