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코아시아(045970) 종목 분석 – 재무제표, 기술적 분석, 외국인/기관 수급, 미래 투자 가치
1) 종목 한눈에 보기
- 기업 개요: 시스템반도체(DSP; Design Solution Partner), IT부품 유통, 카메라/렌즈 모듈, LED 및 신기술사업금융 등을 영위. 삼성전자 파운드리 디자인 솔루션 파트너이자 ARM 공식 디자인 파트너.
- 그룹/사업: 전자부품·시스템솔루션, 시스템반도체 투자 등 포트폴리오 구성.
- 주요 고객: 삼성전자 매출 비중이 높음.
2) 재무제표 요약 (IFRS 연결)
손익계산서 (억원)
구분 | 2022 | 2023 | 2024 | 2025.1Q |
---|---|---|---|---|
매출액 | 4,597 | 3,776 | 3,578 | 1,040 |
영업이익 | -226 | -255 | -396 | 18 |
재무상태표 (억원)
구분 | 2024 | 2025.1Q |
---|---|---|
자산 | 3,831 | 3,841 |
부채 | 2,445 | 2,466 |
자본 | 1,386 | 1,375 |
현금및현금성자산 | 870 | 805 |
코멘트: 2024년까지 적자 확대였으나 2025년 1분기 영업흑자 전환으로 체질 개선 신호. 부채 규모와 금리 민감도 지속 모니터링 필요.
3) 기술적 분석 (스냅샷)
- 최근 1개월 수익률 +26% 내외, 1년 수익률 -31% 내외. 변동성 큰 저점 반등형.
- 시스템반도체 테마 강세 구간에서 단일 세션 급등(+23.7%) 사례 존재.
- 포인트: 단기 과열 후 조정 가능성, 거래량 둔화 시 되돌림 리스크.
4) 외국인/기관 수급
- 최대주주 이희준 외, 자기주식 약 5.75% 보유.
- 최근 일자: 외국인 순매수 +3.9만주, 개인 순매도, 기관 중립.
- 해석: 테마 급등 구간에서 외국인 단기 회전이 잦고 기관 참여 제한적 → 개인 수급 집중 시 변동성 확대.
5) 사업 동력 & 리스크
(+) 업사이드 요인
- DSP 사업 레버리지: 삼성 파운드리·ARM 파트너십 → 고부가 IP/설계 매출 확장 기대.
- 모듈/LED 다변화: 스마트폰 카메라·렌즈 + 자동차용 LED 확대 → 매출 믹스 개선 여지.
- 실적 턴어라운드: 2025년 1분기 영업흑자 전환.
(–) 리스크 요인
- 고객 의존도: 삼성전자향 매출 비중 높음 → 수주 변동에 민감.
- 재무 레버리지: 차입·사채 비중 및 이자비용 부담.
- 테마 변동성: 단기 급등 후 조정 위험 상시 존재.
6) 밸류에이션 단서
- 최근 PBR 약 1.2배. 적자 국면이라 PER 의미 제한.
- 흑자 지속 시 멀티플 재평가 가능.
7) 투자 아이디어
시나리오 A – 구조적 회복 (중장기)
- DSP/IP 설계 수주 확대 + 차량용/광학 모듈 정상화 → 흑자 유지 시 PBR 1.2배 → 1.5~1.8배 리레이팅 여지.
- 체크포인트: 수주백로그, ARM/삼성 파운드리 공동 레퍼런스, 자동차용 LED 매출 성장.
시나리오 B – 사이클/테마 스윙 (단기)
- 시스템반도체/AI 테마 흐름에 따라 뉴스 드리븐 급등·급락 반복.
- 체크포인트: 외국인 단기 순매수 전환, 거래대금 급증, 테마 기사.
리스크 관리:
- 손절: 전일 급등 캔들 하단 이탈 시.
- 분할 매수/매도 원칙 준수.
- 부채 구조·이자비용·고객 다변화 속도 모니터링.
8) 요약
- 핵심: 2025년 1분기 영업흑자 전환 → 체질 개선 신호.
- 주의: 고객 집중·차입 구조 및 테마 변동성 리스크.
- 전략: 실적 개선 지속성 검증, 테마 변동성은 규칙 기반 관리.
출처: FnGuide, KRX, 매일경제, AlphaSquare, 증권플러스, TradingView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