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비교 & 신청 주의사항
신형 스마트폰 구매 시 공시지원금(단말기 할인)과 선택약정(요금 25% 할인) 방식 중 어떤 것이 유리한지, 주요 통신사별 지원 혜택을 비교하고 신청 시 꼭 알아야 할 위약금과 조건까지 정리했습니다.
📌 목차
-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기본 개념
- 통신사별 혜택 비교 요약
- 요금 계산 예시
- 신청 시 주의사항
- 위약금 계산법
- 신청방법 정리
- 종합 판단 및 팁
✅ 1.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개념
- 공시지원금: 단말기 구매 시 즉시 할인, 통신사에서 공시된 금액 보조 [oai_citation_attribution:0‡moyoplan.com](https://www.moyoplan.com/phones/contents/n/disclosure-subsidy?utm_source=chatgpt.com)
- 선택약정: 단말기 할인 대신 요금제 월 요금의 25% 할인, 12개월 또는 24개월 선택 가입()
📊 2. 통신사별 요약 비교
통신사 | 공시지원금 | 선택약정 | 특징 |
---|---|---|---|
SK텔레콤 | 단말기 출고가 기준 공시 | 요금제 25% 할인 12/24개월 선택 가능() | 위약금 유예 이후 선택 가능 |
KT | 신규·기변·번호이동 지원금 차등 | 12/24개월, 잔여기간 관계없이 재약정 가능() | 전화로만 가입 필요한 경우 있음 |
LG유플러스 | 공시 + 최대 15% 추가지원 가능 | 12/24/12+12개월 옵션, 중간 해지 무위약 | 12+12개월 유연 가입 가능() |
📐 3. 요금 비교 예시
출고가 100만원, 59요금제, 24개월 기준 - 공시지원금: 20만원 → 할부원금 80만 원 → 월 할부료 약 33,333원 요금 59,000원 + 부가세 = 약 65,890원 → 합계 99,223원/월() - 선택약정: 월요금 59,000원 x 25% = 14,750원 할인 → 월 지출 요금 59,000-14,750 = 44,250원 단말기 할부료 1,000,000/24개월 = 41,667원 → 합계 85,917원/월 → 총 24개월 누적 시 약 3만 원 절약 가능()
⚠️ 4. 신청 시 주의사항
-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은 함께 받을 수 없습니다.
- 공시지원금 받은 후 6개월 내 해지 시
잔여금의 위약금 발생 (약정 반환금)() - 선택약정 해지 시 위약금 계산 방식은 잔여 기간에 따라 달라짐()
- LG U+: ‘12+12개월’ 자동 연장, 첫 12개월 종료 전 해지 가능()
- KT: 재약정 시 잔여기간보다 긴 약정 선택 필요()
-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해지 및 변경 시 위약금 조건 반드시 확인
💸 5. 위약금 계산법
- 공시지원금 위약금 = (지원금 ÷ 24개월) × 잔여개월수()
- 선택약정 위약금(24월) - 0~6개월 사용 시: 누적 할인액 X100% - 7개월 이후: 누적 할인액 X {잔여월÷(24–6)}()
🛠 6. 신청 방법 요약
- 단말기 구매 시 공시지원금 또는 선택약정 중 하나 선택
- 선택약정은 개통 후 통신사 앱·웹·대리점에서 가입
- KT는 전화 또는 KT샵에서, LG유플러스는 ‘12+12’ 자동연장 가능
- 공시지원금은 개통 시 자동 적용되며, 선택약정 전환 시
공시지원금 반환금 납부 필요할 수 있음 - 약정정보, 위약금 계산, 할인 내역은 앱에서 확인 가능()
🧭 7. 종합 판단 및 팁
- 장기 사용(24개월 이상) 예정이라면 선택약정이 통신비 절약에 유리
- 신형 고가 단말기 구매 시 공시지원금 혜택 크면 초기 비용 절감 가능
- 약정 중도 해지나 단말기 변경 계획 있다면 위약금 계산 필수
- 자급제폰 사용 시 선택약정만 가능하므로 무약정계약 필요
- 요금제 변경, 명의변경 시 약정 조건 유지 여부 확인